내 삶의 네비게이션

인문학은 삶의 이정표 역할을 해준다

카테고리 없음

#인간(人間)아! 인간이여!

겸둥이 김정겸 2023. 3. 19. 11:21
728x90
반응형
SMALL
인간이란 무엇일까요?
우선 人間이라는 한자를 생각해 보고 이를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유명한 말
인간은 사회적 동물과 연관하여 풀어보겠습니다.

 

 

    人間이라는 한자를 먼저 분해하여 보겠습니다.


 

먼저 이라는 단어는 사람 두 명이 서로 기대어 있는 형상입니다.

#지게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림에서 보다시피 #작대기를 빼버리면 지게는 넘어지게 되었습니다.

서로 의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처럼 인간도 서로 #의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는 사이 간이라고 읽습니다.

#영어로는 between입니다.


앞에서 인간 둘이 서 있는 것이 이라고 했듯이 인간 사이의 관계를 의미합니다.

,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가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그 사이가 따듯해야 하며, 그 사이가 인간다워야 한다는 것이

#공자의 인() 사상입니다.


 

어질 #()”으로 알고 있는 이 은 사람()이 둘()이 모여 있는 것으로

그 사이(=between)어질어야 한다"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의 속성은 사랑따듯함입니다.

 


을 살펴본바 우리 인간 사회는 “#관계로 형성되는 것입니다.

관계는 함께 있음(with being)”으로 정리됩니다.

나는 당신과 함께 있음으로 #행복합니다(I have the happiness with being).


 

#친구를 사귄다고 할 때 혼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니

make friends with라는 표현을 씁니다.

#악수를 한다는 것도 혼자서 허공에 대고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shake hands with라고 표현합니다.


모두 함께라는 ”with“가 들어갑니다.

그뿐만 아니라 단수가 아니라 복수(friends, hands)를 사용합니다.


 

좀 더 나가볼까요?


#스포츠(sports)라는 단어를 보겠습니다.

스포츠는 혼자 운동하는 것이 아니기에,

 단수 sport를 사용하지 않고 sports라는 복수를 사용합니다.

, 스포츠를 통해 #배려, #협동, #돌봄이라는

#인성교육의 바탕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에서 학생들의 인성교육을 위해

#학교 스포츠를 권장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상의 내용을 살펴볼 때

인간은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말처럼 “#사회적 동물이 됩니다.

그 이유는 혼자서 살아갈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서로 #사랑하는 인간적인 냄새가 나야 한다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