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의 네비게이션

인문학은 삶의 이정표 역할을 해준다

카테고리 없음

노자 도덕경 33장-"力"과 "強"을 각각 "strength"와 "power"로 번역한 이유-2편

겸둥이 김정겸 2024. 11. 1. 10:38
728x90
반응형
SMALL

힘자랑 하는 헤라클레스와 고뇌하는 칸트

 

다음으로 """"을 각각 "strength""power"로 번역한 이유는 중국 철학적 사유와 영어 어원의 관계를 통해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첫째, 중국 철학적 사유에서 """"

(, strength)“은 물리적 힘이나 능력을 의미하며, 타인을 이기는 것과 관련된 개념입니다. 노자는 남을 이기는 것이 힘의 한 형태라고 보았으며, 이는 외부의 힘이나 권력을 통해 상대를 제압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이러한 힘은 일시적일 수 있으며, 외부의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trength"로 번역하는 것은 이러한 물리적이고 외적인 힘의 개념을 잘 전달합니다.

(, power)“은 단순히 힘을 넘어서, 내적인 강인함과 자기 통제를 의미합니다. 자신을 이기는 것은 외부의 힘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감정과 욕망을 조절하는 능력을 포함합니다. 이는 진정한 강함을 나타내며, 노자는 자기 통제를 통해 얻는 내적인 힘이 진정한 강함이라고 강조합니다. """power"로 번역하는 것은 이러한 내적 힘과 자기 통제의 중요성을 잘 반영합니다.

 

둘째, 영어 어원의 관계에서의 Strengthpower

"Strength"는 고대 영어 "strengð"에서 유래하며, 물리적 힘이나 강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외부의 힘을 강조하는 단어로, ""의 의미와 잘 맞아떨어집니다. "Strength"는 단순히 힘을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어떤 상황에서의 저항력이나 지속성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Power"는 라틴어 "potere"에서 유래하며, 능력이나 권한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한 물리적 힘을 넘어서, 영향력이나 통제력을 포함하는 더 넓은 개념입니다. "Power"는 자기 통제와 내적 강인함을 강조하는 데 적합하며, ""의 의미와 잘 연결됩니다.

 

결론적으로 노자는 "남을 이기는 자는 힘이 있다"는 외적인 힘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자신을 이기는 자는 강하다"는 내적인 강인함과 자기 통제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외부의 힘은 일시적이고 변동성이 있지만, 자기 통제와 내적 강함은 지속적이고 진정한 힘을 제공합니다.

 

노자 33장은 인간 존재의 두 가지 힘, 즉 외부의 힘과 내부의 힘을 대비시키며, 진정한 강함은 외부의 승리가 아닌 자기 자신을 극복하는 데 있음을 일깨워 줍니다. 따라서, 노자는 독자에게 내면의 힘을 기르고,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통제하는 것이 진정한 강함의 길임을 제시합니다. 이는 중국 철학의 핵심 가치인 도와 자연의 조화, 그리고 자기 수양의 중요성을 잘 드러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