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의 네비게이션

인문학은 삶의 이정표 역할을 해준다

카테고리 없음

노동절에 우리 모든 노동자를 위해(노동, 사랑, 병—삶을 잇는 실타래)

겸둥이 김정겸 2025. 4. 30. 14:51
728x90
반응형
SMALL

먼저 전곡면(지금은 전곡읍)  환경 미화원으로 근무 중 타계하신 아버지 김영달 님을 노동절을 맞이하여 당신의 숭고함을 그려봅니다.

 

톨스토이(Tolstoy)의 우화 노동과 죽음과 병(Labor, Death, and Sickness)은 인간 존재의 근원적인 조건으로 노동, 죽음, 병으로 보았고 이것이 지니고 있는 의미를 깊은 성찰을 통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근원적인 조건 노동, 죽음, 그리고 사랑 이 3가지는 우리 삶의 가장 본질적인 측면을 꿰뚫고 있는 것들입니다.

 

인간은 노동을 통해 자연을 변형시키고, 공동체를 유지하며, 자신의 존재 의미를 확인합니다. 함께 땀 흘리는 과정 속에서 연대감이 형성되고 사회적 관계가 발전합니다. 단순히 생존을 위한 행위를 넘어, 노동은 인간을 사회와 연결하는 강력한 끈입니다.

 

죽음은 인간은 유한한 존재라는 인식으로 인간을 겸손하게 만들고, 서로에게 의지하며 함께 살아갈 이유를 부여합니다. 죽음 앞에서는 모든 인간이 평등하며, 공동체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근원적인 경험이 됩니다. 슬픔을 나누고 고인을 추모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결속력은 더욱 단단해집니다.

 

병은 인간의 이기심을 극복하고 연민과 사랑을 배우게 하는 도구로 의도되었지만, 오히려 사회의 냉혹함을 드러내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결국, 인간이 스스로 깨닫고 변화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이제 노동을 집중적으로 생각해 보겠습니다.

산업혁명 이후 자본주의의 발달 과정에서 노동은 종종 단순하고 반복적인 행위로 치부되었고, 노동자들은 생산의 도구처럼 여겨지기도 했습니다. 고된 노동 환경과 낮은 임금은 노동자들의 존엄성을 훼손시키고 사회적으로 낮은 지위에 머물게 하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또한, 일부 특권 계층의 게으름과 대비되며 노동을 천하고 고된 것으로 여기는 편견도 존재했습니다. 이러한 부정적인 인식은 노동의 진정한 가치와 의미를 간과하게 만들었습니다.

 

이제 노동에 대한 인식이 대단히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바뀌었습니다.

먼저, 노동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새롭게 정립되었습니다. 노동은 단순한 생계유지 수단을 넘어, 개인의 성장과 사회 발전에 필수적인 행위임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노동자들의 권익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안전하고 존중받는 노동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교육과 미디어를 통해 노동의 의미와 가치를 재조명하고, 묵묵히 땀 흘리는 노동자들의 노고에 감사하는 문화를 만들어나가야 합니다.

 

노동의 다양성과 창조성을 인정하고, 각자의 분야에서 헌신하는 모든 노동자들에게 존경과 격려를 보내는 사회 분위기가 필요합니다. 신성한 노동의 의미는 단순히 물질적인 생산 활동을 넘어섭니다. 노동은 인간이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고, 세상에 기여하며, 자아를 실현하는 고귀한 행위입니다. 노동은 창조의 기쁨을 선사하고,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성취감과 자존감을 높여줍니다.

 

땀방울은 삶의 열정을 담고 있으며, 우리가 만들어낸 결과물은 세상을 더욱 풍요롭게 합니다. 신성한 노동은 개인의 삶에 의미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번영과 인류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숭고한 행위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노동을 통해 자신의 존재 이유를 찾고, 타인과 연결되며,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나가는 여정에 동참해야 합니다.

 

노동절을 맞아,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땀 흘리는 모든 노동자들의 노고에 깊은 존경과 감사를 표합니다. 그들의 헌신이 우리 사회를 지탱하는 빛나는 기둥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