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의 네비게이션

인문학은 삶의 이정표 역할을 해준다

카테고리 없음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2

겸둥이 김정겸 2023. 8. 18. 09:06
728x90
반응형
SMALL

2. 아파트=공동체, 인민재판

영탁(이병헌)의 주민 선동 장면

이 영화는 대 지진으로 인해 모든 것이 파괴된 곳에서

유일하게 그야말로 건축적인 의미로

단단하게(concrete) 지어진(?) 황궁 아파트에서의

다양한 인간 군상을 통해

선과 악의 교차를 보여주고자 하는 철학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우선

아파트는 공동체적인 삶을 기본 바탕으로 하고 있다.

오늘날 새로 지어지는 아파트에는

콘크리트벽으로 갈라지고 메말라진 사람들 사이에

따듯한 온 김이라도 불어넣어주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커뮤니티[community]“를 중요시 한다.

community일정한 지역이나 공간에서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생활하는 사회 조직체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위기의 상황에서

아파트 주민들의 생존을 위한 주민대표 영탁(이병헌 역)에 의한

공산주의적 황궁 아파트 주민 수칙을 만들어서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는 community를 형성한다.

영탁은 아파트에 발생한 화재를 순식간에 해결하며

주민 대표라는 완장을 차게 된다.

이 대목에서 윤흥길의 완장이라는 소설이 생각나는 것은 왜일까?

피라미드의 권력구조-포스터

 

“완장’은 권력을 상징하는 것이다.

택시 기사 영탁이 처음으로 주민 대표라는 완장을 차고

완장이 주는 힘인 권력의 폭력성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완장을 차고 결국은 ”인민재판“을 시작한다.

 

부촌 아파트인 드림 팰리스 사람들을 증오하던

빈촌 아파트 황궁 아파트 주민들은

드림 팰리스 사람들이 황궁아파트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장면에서

주민 수칙을 통해 인민재판을 하는 것을 보면서 등골이 오싹해지기 시작한다.

또한

박서준이 자신의 아내 박보영이 한 행위가 영탁에게 들통나자

인민재판에 넘겨지는 것이 두려워

영탁에게 무릎을 꿇고 충성맹세를 하는 장면 등

이미 정해진 결론으로 치닫는 인민재판을 통해

인간의 선과 악의 교차를 경험하게 된다.

선(善)했던 영탁이 악(惡)의 화신으로 바뀌어 가는 과정에 단초를 제공한 것이 ”돈“이었다면

그에게 채워진 완장이 악인으로서 마침표를 찍게 한다.

 

은 결국 생존의 문제이다.

사기당한 자신의 아파트를 되찾기 위한 몸부림에서 결국 영탁은 살인을 저지르게 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은 절대 권력이며 ”돈“이 완장이 될 수 있다.

심리학자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위계설에서

가장 저급한 욕구로 제시한 것이 생리적 욕구이다.

영화에서 생리적 욕구 충족을 위해 살인을 저지르고

그를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악인화의 추함을 보게 된다.

 

선을 악으로 바꾸는 매개체인 돈과 완장을 경계해야 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다음 이야기는

선에서 악으로의 이동을 정당화하는

편류(drift) 이론에.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