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승돌’에서 ‘개념돌’로의 전환
인간이 동물과 다른 점은 ‘이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는 그의 논리와 철학에서
인간의 영혼을 다루면서 '이성적 영혼'에 큰 중요성을 부여했다.
그는 영혼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계급,
즉
식물적 영혼(Plant Soul),
동물적 영혼(Animal Soul),
이성적 영혼(Rational Soul)으로
나누었다. 각각의 계급을 자세히 살펴보자.
식물적 영혼 (Plant Soul)
식물적 영혼은
생물의 가장 낮은 계급으로,
모든 식물에 존재한다.
이 계급의 영혼은
기본적인 생존 및 성장 기능을 담당한다.
씨앗에서 식물이 자라고
열매가 결실하는 등의 생물학적 프로세스를 조절한다.
식물적 영혼은
무생물과 구별되며, 생명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필자가 쓰고 있는 글의 방향에서
‘식물영혼’은 단지 ‘살아있음“만을 의미한다.
’ 식물인간‘,’ 식물국회‘가 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동물적 영혼 (Animal Soul)
동물적 영혼은
동물들에게 존재하며, 감각과 욕구, 움직임과 행동을 관리한다.
이 계급의 영혼은
동물의 미각, 청각, 후각, 미각 등
다양한 감각을 통해 환경을 인식하고 반응한다.
동물적 영혼은
동물들이 생존, 번식, 먹이를 찾는 등의 기본적인 생존 활동을 조절한다.
역시 필자가 쓰고 있는 글의 방향에서
감각적 영혼인 ’동물영혼‘은
’ 살아있음과‘만
갖고 있는 것이다.
단지
감각적인 것만을 수용하기 때문에
감정이나 욕구만을 갖게 되는 것이다.
성추행이나 성폭행, 막말, 욕하는 것 등은 동물적 영혼, 즉 짐승이나 하는 것이다.
그들은 더 이상 인간이 아니다.
이성적 영혼 (Rational Soul)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이성적 영혼은 인간에게만 존재하며 가장 높은 계급의 영혼이다.
이성적 영혼은
추론, 논리, 의식, 도덕적 판단, 지식의 습득 등과 같은 고급 정신적 능력을 제공한다.
이 계급의 영혼은
인간을 다른 동물과 구별 짓는 중요한 특징으로,
사고와 추론을 통해 인간의 지적 활동 및 도덕적 행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성적 영혼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서 큰 중요성을 갖고 있으며,
그의 윤리학 및 정치학 이론의 기초를 형성한다.
인간은 이성적 영혼을 통해 도덕적인 가치를 이해하고 행동하며,
이로써 사회적으로 조화롭고
더 높은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을 가지게 된다고 믿었다.
필자의 주장
-짐승돌에서 개념 동으로의 전환
필자는 언어의 조심스러운 사용과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하기 위한 글을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론을
소환한 것이다.
앞서 말한 바처럼
성추행이나 성폭행, 막말 등은
동물적 영혼, 즉, 짐승이나 하는 것이기에
그런 행위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사람이기를 포기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어린 인기남자연예인에게 한동안 ’짐승돌‘’ 짐승돌‘이라고 불렀다.
이 언어는 그네들을 인격을 비하시켜 부르는 것이다.
언어폭력
정신의 가치는 사유로부터 나오는 것이다.
아무 생각 없이 내뱉는 말(악플)은 상대방을 죽음에 이르게 하기도 한다.
모든 사유는 어떤 대상을 향한 사유이기 때문에
더욱더 배려가 담겨야 한다.
그 악플로 인해 유명을 달리한 유명 연예인이 그 얼마인가?
가수 김 태원 씨를 좋아하는 이유는
그분의 말 한마디 한마디가
상대방을 배려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TV방송에서 모 개그맨이
먹고살기 위해서 그리고 자신의 캐릭터를 잡기 위해서라고 하지만
(지금은 사과하는 방송으로 후회한다고 말하고 있지만)
그가 내뱉는 막말에 마음 다치고 우울하였던 사람이 그 얼마이며
또
그의 막말에 열광한 사람은 그 얼마인가?
혹시 방송과 그 개그맨과의 카르텔이 있어서
지금도 승승장구하고 있는가? 하는 합리적인 의심이 든다.
그이의 말을 독설이라고 하는데
그건 독설이 아니라 상대방에 대한 배려가 없는 막말이다.
’ 막말‘,
’ 막장드라마‘
’막사는‘의
”막(a blind end)“은
갈 때까지 가서 마지막이라는 뜻이다.
가수 아이유는 가수생활이 주이기 때문에
그리고
대입준비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학진학포기(사유)를 당당하게 이야기했다..
우리는 그녀에게 열광했다.
그래서 언론에서 그녀를 ”개념돌”이라고
말한다.
중용을 지키는 것이
자신의 도덕적 실천행위를 아름답게 하는 것이고“인간답게” 사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