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익스피어의 '햄릿'에서 나오는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은 매우 유명한 대사 중 하나입니다.
이 문장은
햄릿이 자신의 내면에서 고민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삶과 죽음, 존재와 비존재, 그리고 인간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인 질문을 제기합니다.
이 대사를 다양한 시각에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부정적인 감성이 아닌 긍정적인 시각으로 해석한 글입니다.
햄릿의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은
우리 삶에 대한 심오한 고민을 담고 있습니다.
이 문장은
그가 자신의 내면에서 존재와 비존재, 삶과 죽음에 대한
절박한 질문을 던지는 순간을 담아냅니다.
그러나
이 질문은 우리에게 단순한 부정적인 선택이나 비관적인 시각을 제안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이 대사는
우리에게 인간의 존재와 삶의 소중함을 깊이 생각하도록 유도합니다.
"사느냐 죽느냐"라는 선택은
우리의 삶을 더욱 강조하고 가치 있게 만들어 줍니다.
우리는 한정된 시간 동안 다양한 경험을 하고 성장할 기회를 갖게 됩니다.
삶은 고통과 어려움도 포함하지만,
그것들을 극복하고 더 나은 삶을 창조할 수 있는 능력도 가지고 있습니다.
햄릿의 이 대사는
결국
"삶을 선택하자"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우리는 어떤 어려움이든 극복할 수 있고,
삶을 풍요롭게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이 선택은 우리가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
우리의 존재를 더욱 가치 있게 만드는 일입니다.
"To be, or not to be"라는 질문은
우리에게 희망과 결단력을 주며,
우리의 삶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시작점이 됩니다.
그러나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에 대한 해석을
우리나라 사람들은 대부분 부정적으로 해석합니다.
문장의 순으로 보면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이다"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를 거꾸로 해서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이다"라고 합니다.
대단히 부정적 감성입니다.
”새가 노래를 한다 “가“ 아니라
”새가 운다 “라고“ 역시 부정적 정서 표현을 합니다.
부정적 생각은 몸도 마음도 병들게 한다.
그래서
”건강한 신체 속에 건전한 생각(A sound mind in a sound body)“라는 표현을
패러디하여 약간 비틀어 보면
A sound body in a sound mind,
즉
‘건강한 정신 속에 건강한 신체’를 갖게 된다는 표현이 됩니다.
긍정적인 생각은 몸을 편안하게 할 것 임에 분명합니다.
세상을 아름답게 보려는 자신의 노력이 자신을, 가정을, 세상을 아름답게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