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의 네비게이션

인문학은 삶의 이정표 역할을 해준다

728x90
반응형
SMALL

플라톤 3

밈(meme)이 유행한다. 도데체 밈(meme)이 무엇이란 말인가?

"밈"은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의 책 "The Selfish Gene"에서 처음 소개된 개념으로, "아이디어"나 "문화적 단위"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밈(meme)의 어원을 보면 플라톤(Platon)의 Idea에서 유래 합니다. 아이(i)를 대문자로 쓴 Idea는 “이데아”라고 읽고 소문자로 쓴 idea는 “아이디어”로 읽습니다. "밈"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어의 "mimeme"에서 유래되었으며, "모방"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laton에게 있어 참된 진리의 세상은 Idea세계입니다. 이 이데아 세계를 모방(mimeme)한 세상은 참되지 못하다고 봅니다. 밈은 사람들 사이에서 전파되는 문화적인 요소로, 이는 행동, 언어,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습니다. ..

카테고리 없음 2024.03.28

삼각형과 오각형의 인문학

삼각형과 오각형을 인문학적인 시각에서 바라본다면, 이러한 기하학적 도형은 더 깊은 의미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아래는 삼각형과 오각형에 대한 인문학적인 접근을 나타내는 아이디어이다. 첫째, 삼각형 (Triangle)의 의미는 3가지로 나타내볼 수 있다. 우선, 통합과 균형의 상징(안정)이다(안정) 이다 삼각형은 세 변이 조화롭게 결합되어 균형을 이루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는 통합과 균형, 조화의 상징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삼각형은 다양한 개념에서 통합된 아름다움이나 조화를 상징하는 상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세계의 삼위일체를 나타낸다. 삼각형은 세 변이 서로 다른 개념이나 성격을 나타내며, 이들이 하나로 합쳐져 세계의 삼위일체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다양성과 통합, 그리고 ..

카테고리 없음 2023.12.22

Kant의 순수이성비판

칸트는 지성(오성)과 감성(오감)의 상호작용으로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고 보았다. Platon은 오로지 ‘지성’만이 참된 것이라고 보면서 감각의 세계에 빠져서 참된 인식을 하지 못하는 것을 경계하였다. 반면에 Epicuros학파는 감각기관을 통해서만 느낄 수 있는 것만을 인정하며 그 외의 것은 상상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칸트는 이 두 개 각각만의 사상은 철학 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즉 ‘지성’적 계통을 이어받은 합리주의는 비합리적인 것, 우연적인 것을 모두 배척하고 오로지 이성적이고 논리적이고 필연적인 것만을 강조한다. 칸트에게 있어 이것은 ‘감성’이 결여된 철학일 수밖에 없다. 감성적 계통을 이어받은 경험주의는 모든 지식의 근원을 경험에 있다고 함으로서 경험적 인식을 중요시했다. ..

카테고리 없음 2023.07.10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