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의 네비게이션

인문학은 삶의 이정표 역할을 해준다

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 248

김영랑-모란이 피기까지는

모란이 피기까지는나는 아즉 나의 봄을 기둘리고 있을테요.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나는 비로소 봄을 여흰 서름에 잠길테요.오월 어느 날, 그 하로 무덥던 날,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천지에 모란은 자최도 없어지고,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삼백 예순 날 한양 섭섭해 우옵내다.모란이 피기까지는나는 아즉 기둘리고 있을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은 봄의 아름다움과 그리움, 그리고 삶의 덧없음을 깊이 있게 표현한 시입니다. 이 시는 모란이 피기까지의 기다림과 그 꽃이 지고 난 후의 서운함을 통해, 인생의 한 순간을 소중히 여기고 그 순간이 지나간 후의 허무함을 느끼게 합니다. 첫 구절에서 "모란이 피기까지..

카테고리 없음 2025.04.07

"아파트, 시간 속에 깃든 두 개의 목소리“-윤수일과 로제의 노래 ”아파트“

"아파트, 시간 속에 깃든 두 개의 목소리“-윤수일과 로제의 노래 ”아파트“  윤수일의 "아파트"와 로제의 "아파트"는 이름만 공유할 뿐, 서로 다른 시대의 리듬과 감성을 담고 있습니다. 같은 단어로 명명되었지만, 두 곡은 전혀 다른 이야기와 감정을 노래하며 각자의 시간 속에서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1980년대의 "아파트"는 도시화가 본격화되던 시기의 정서를 서정적으로 담아냅니다. 윤수일의 목소리는 따뜻한 가슴을 어루만지듯, 아파트라는 공간에 담긴 꿈과 희망을 잔잔히 그려냅니다. 그 시대의 아파트는 단순한 주거공간 그 이상이었습니다. 삶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시작을 상징하는 장소로 여겨졌습니다. 그곳에서 울려 퍼지는 멜로디는 석양 아래 저물어가는 하루의 피곤함과 함께, 내일의 희망을 불러일으키는 위로와..

카테고리 없음 2025.04.04

"함께 걸어가는 길 위에서: 속담이 들려주는 삶의 시(詩)“

"함께 걸어가는 길 위에서: 속담이 들려주는 삶의 시(詩)“농산품 중에 ”깨“가 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고소하고 맛있는 깨가 무엇일까요? 참깨? 들깨? 아닙니다. 정말 고소하고 맛있는 깨는 ”함께(with)“입니다. 여러분과 ”함께“하는 분들과 이번주도 ”함께“ 행복하시길 기도합니다.  아프리카 속담에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는 말이 있습니다. 이 아프리카 속담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는 깊은 지혜와 사회적 상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 속담에서 담긴 메시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빨리 가려면 혼자 가라혼자 가면 의사 결정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고, 단기적인 목표를 빠르게 달성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계획과 목표에 대해 독..

카테고리 없음 2025.03.31

드라마 "폭삭 속았수다"-귤빛 인생, 달콤한 희망의 레시피

드라마 "폭삭 속았수다"가 지금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해외판 영어 제목은 "When Life Gives You Tangerines“입니다. 이 제목은 미국의 유명한 격언 "When life gives you lemons, make lemonade"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습니다. 원래 격언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긍정적으로 극복하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데, 이 드라마에서는 제주도의 특산물인 귤을 활용하여 지역적 색채를 강조하며 제목을 변형했습니다.  한국어 제목인 "폭삭 속았수다"는 제주도 방언으로 "수고 많으셨습니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제목은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을 찾고 삶을 개척하는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잘 담아내고 있습니다.  우선 미국의 격언 "When life gives you lemo..

카테고리 없음 2025.03.28

이카루스의 날개-욕망

1. 줄거리뛰어난 발명가 다이달로스와 그의 아들 이카루스는 크레타 섬의 미노스 왕의 미궁에 갇히게 됩니다. 탈출하기 위해 다이달로스는 새의 깃털과 밀랍을 사용하여 날개를 만듭니다. 날개를 만들고 탈출을 시도합니다. 다이달로스는 아들 이카루스에게 너무 높이 날면 태양열에 밀랍이 녹아 날개가 떨어질 것이고, 너무 낮게 날면 바다의 습기 때문에 깃털이 젖어 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그러나 이카루스는 하늘을 나는 기쁨에 취해 아버지의 경고를 잊고 점점 더 높이 날아오릅니다. 결국 태양열에 밀랍이 녹아 날개가 부서지고, 이카루스는 바다에 추락하여 죽게 됩니다. 2. 이카루스 이야기의 교훈이 이야기는 인간의 과도한 욕망과 경고를 무시했을 때의 위험성을 경고합니다. 또한, 인간의 한계를 인식하고 겸손해야..

카테고리 없음 2025.03.26

장윤정의 노래, “초혼”이 주는 갬성

오늘은 장윤정의 노래 “초혼”을 들으며 감성에 젖어 봅니다. 저 마음 한구석에 누구 보지 않는 나만의 방에 고이고이 감추어 놓은 전곡면 사무소 환경미화원이셨던 아버지 김영달을 그리며 사랑을 노래 해 봅니다.  유행가는 마치 바람에 실려오는 낡은 향기의 숨결과도 같습니다. 우리의 삶 곳곳에 스며들어 잊힌 감정의 어둑한 장막을 걷어내고, 가슴속 깊이 잠들어 있던 기억을 깨우죠. 장윤정의 초혼과 같은 곡은 그리움과 사랑이라는 이름의 강을 따라 흐르며, 우리가 놓쳐버린 순간들을 다시금 마주하게 합니다. 음악의 선율은 보이지 않는 손이 되어 우리의 마음을 어루만지고, 가사는 삶의 비밀스러운 이정표를 일깨웁니다. 잊으려 했던 고통과 붙잡고 싶은 행복을 동시에 떠올리게 하며, 살아가는 것의 의미를 되묻는 거울이 되어..

카테고리 없음 2025.03.22

카프카의 『변신』이 주는 의미

현대 사회에서 “나는 혹시 돈 벌어오는 기계는 아닌가?” 혹시 “내가 실직했을 때 식구들은 더 이상 돈벌이를 못하는 나를 벌레 취급은 하지 않을까?” 등등의 생각을 프란츠 카프카 (Franz Kafka) 소설 '변신'의 주인공 그레고르를 통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대략의 줄거리그레고르는 잠자는 어느 날 아침, 흉측한 벌레로 변해버린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혼란에 빠집니다. 그레고르는 평범한 외판원으로,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인물이었습니다. 하지만 벌레로 변해버린 그는 더 이상 일을 할 수 없게 되고, 가족들에게 짐이 되어 버립니다. 2. 벌레의 의미벌레로 변한 그레고르는 사회적 고립을 의미합니다. 가족들과의 소통이 단절되고, 방 안에 갇혀 고립된 생활을 하게 됩니다. 결국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고 열심히..

카테고리 없음 2025.03.17

따뜻한 인간애: 공자의 인(仁)으로 엮는 사랑과 신뢰의 관계

따뜻한 인간애: 공자의 인(仁)으로 엮는 사랑과 신뢰의 관계 공자의 인(仁) 개념은 깊고도 넓은 인간 관계의 철학으로,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의 삶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를 파자해 보면 ‘사람(亻)’과 ‘둘(二)’의 결합으로, 인(仁)은 단지 개인의 독립된 존재를 넘어 서로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는 인간 본연의 속성이 서로를 사랑하고 아껴야 한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본질을 한자로 분석해 보면, “인(人)”과 “간(間)”이 만나 인간을 형성합니다. 이때의 ‘간(間)’은 ‘사이’라는 의미로, 우리 인간은 서로의 관계 속에서 존재함을 깨닫게 합니다. 우리는 혼자가 아니며,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비로소 우리의 삶이 의미를 찾습니다. 이러한 관계에서 우리가 ..

카테고리 없음 2025.03.10

야스퍼스[Karl (Theodor) Jaspers]의 한계상황

야스퍼스[Karl (Theodor) Jaspers]의 한계상황 하이데거(Heidegger)와 함께 독일 실존철학을 창시한 인물로 그는 인간의 자기 실존에 대한 관심에서 철학의 출발을 시작합니다.  여기서 도대체 “실존‘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의미를 알아야 오늘 이야기 하고자 하는 ’한계상황”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실존은 한마디로 “인간”을 말하는 것입니다. 조금 유식하게 말하자면 살존이란 존재의 구체적이고 개인적인 경험을 강조하는 철학적 개념입니다. 이는 인간이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고, 그 존재의 의미를 찾으려는 노력을 포함합니다. 실존주의는 인간의 삶에 내재된 불확실성, 불안, 그리고 의미의 부재를 강조합니다. 실존은 인간 존재의 구체적이고 개인적인 경험을 강조하는 철학적 개념입니다. 이는 인간이 ..

카테고리 없음 2025.03.04

"신의 그림자 속에서 피어나는 인간의 빛"

being image 이용한 그림"신의 그림자 속에서 피어나는 인간의 빛" 니체(Friedrich Nietzsche)의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Also sprach Zarathustra)"는 철학적 소설로, 주인공 짜라투스트라가 인간의 본성과 삶의 의미에 대해 탐구하는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필자는 이 작품 속에 드러나는 여러 주제를 좀더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자 합니다.  첫째, 초인 (Übermensch) 사상입니다. 짜라투스트라는 인간이 초인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초인은 기존의 도덕과 가치관을 초월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존재입니다. 초인은 인간이 더 높은 존재로 발전해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초인은 기존의 도덕과 가치관을 초월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존재라고 말합니다.이 ..

카테고리 없음 2025.02.25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