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의 네비게이션

인문학은 삶의 이정표 역할을 해준다

728x90
반응형
SMALL

아리스토텔레스 5

축구장에서 경기에 사용되는 공은 하나

축구장에서 경기에 사용되는 공은 하나 sport와 sports는 그 의미가 다릅니다. sport는 단수이고 sports는 복수이다. sport는 혼자서 하는 운동경기라면 sports는 여럿이 함께하는 팀 경기입니다. 그래서 sports에는 ‘협동과 이해’라는 덕목을 필요로 합니다. 손흥민이 주장을 맡고 있는 토트넘이 종전과 다른 경기를 한다는 말이 나옵니다. 그 의미를 “축구장에서 경기에 사용되는 공은 하나”라는 철학적 가정으로 출발하여 가정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까지 살펴보겠습니다. 운동장에 사용되는 축구공은 여러 개가 아니라 “하나”입니다. “하나”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이 문장은 협동과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메타포(metaphor)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하나"라는 단어는 단일성을 나타내는 것 ..

카테고리 없음 2023.10.04

"닭이 먼저인가? 알이 먼저인가?"는 오래된 철학적 논쟁-3

3. 무한한 순환 (철학적 고찰)에 대한 관점 "무한한 순환" 관점은 "닭이 먼저인가? 알이 먼저인가?"와 같은 질문에 대한 명확한 답을 내리기 어렵다고 주장하는 철학적 관점입니다. 이 관점은 단순히 "닭이 먼저" 또는 "알이 먼저"라고 결론 내리는 대신, 인과적인 연쇄의 무한한 순환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시각에서는 원인과 결과 간의 구분이 모호하며, 모든 사건과 현상이 상호 의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이 관점에서는 인과 관계와 시간적 선후 관계를 다룰 때 일반적으로 알 수 없거나 무한한 순환의 문제가 발생한다고 주장합니다. 아래에는 "무한한 순환" 관점의 주요 특징을 설명하겠습니다. 첫째, 시간과 원인의 복잡성 이 관점은 시간과 원인 간의 관계가 복잡하며, 단순하게 순..

카테고리 없음 2023.09.30

물이 깊어야 고기가 모인다

"물이 깊어야 고기가 모인다"라는 속담은 우리에게 깊은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 말은 단순히 지식이나 경험이 풍부하다는 것을 넘어서, 그것이 다른 사람들과 공유되고 존경받을 수 있는 가치 있는 자산임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은 끊임없는 변화와 도전의 연속입니다. 그리고 이 변화와 도전 속에서 우리는 얼마나 깊은 지식과 덕을 가지느냐에 따라 우리 삶의 질과 의미가 형성됩니다. 마치 깊은 물에서 고기가 모이는 것처럼, 우리의 내면에 깊은 생각과 풍부한 도덕성이 놓이면, 우리 주변의 사람들은 우리를 따르고 존경할 것입니다. 깊이 있는 생각은 우리의 의사 결정과 행동을 지배합니다. ]우리는 더 나은 세상을 창조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풍부한 지식을 추구하며, 지혜롭게 선택합니다. 이러한 노력은 우..

카테고리 없음 2023.09.14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에게서 배운다-3

대중설득과 연설의 필수요소: 로고스(logos), 파토스(pathos), 에토스(ethos)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는 ‘수사학’에서 설득의 3원칙으로 로고스(logos), 파토스(pathos), 에토스(ethos) 를 주장했다. 이러한 원칙들은 효과적인 말하기와 글쓰기를 위해 중요한 가이드 역할을 한다. 첫째, 로고스 (Logos) 로고스는 논리와 논증을 의미한다. 이는 설득하려는 주장을 논리적으로, 합리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사실과 근거를 사용하여 논리적으로 주장을 전개하고, 추론과 논증을 통해 듣는 이나 독자를 설득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로고스는 통계 데이터, 전문 지식, 논리적 연역 등을 통해 주장을 뒷받침하고 논리적으로 타당한 주장을 제시하는 것이다..

카테고리 없음 2023.09.11

말은 그 인간의 인격을 들어내는 것이다.

입(口)의 의미는 욕구이다. 욕구는 영어로 “need” 이다. “need”는 ‘필요’라는 뜻을 갖고있다. 그러나 이 단어를 좀더 면밀히 조사해보면 ‘결핍’이라는 뜻도 있다. “want"역시 ‘원하다’이외에 ‘결핍의 뜻을 갖고 있다. ’사랑을 원한다(want)‘고 할때 사랑이 ’결핍‘되었기 때문이며 ’돈을 필요로 한다(need)‘라고 한다면 돈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핍(need)‘은 반드시 ’욕구(need)‘를 ’필요(need)‘로 하는 것이다. 그 욕구는 어디에서 나오는가?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종합해보면 생물학적 기관인 입(口)으로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입‘은 욕구의 중심이고 ’입‘을 통해 나오는 모든 발설(發說 )은 자신의 욕구충족의 일환으로서 내 뱉는 행태이다. 많은 학자와 철학자의 주장 ..

카테고리 없음 2023.06.26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