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의 네비게이션

인문학은 삶의 이정표 역할을 해준다

728x90
반응형
SMALL

도덕경 3

노자 도덕경 33장-"力"과 "強"을 각각 "strength"와 "power"로 번역한 이유-2편

다음으로 "力"과 "強"을 각각 "strength"와 "power"로 번역한 이유는 중국 철학적 사유와 영어 어원의 관계를 통해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첫째, 중국 철학적 사유에서 "力"과 "強"”力(력, strength)“은 물리적 힘이나 능력을 의미하며, 타인을 이기는 것과 관련된 개념입니다. 노자는 남을 이기는 것이 힘의 한 형태라고 보았으며, 이는 외부의 힘이나 권력을 통해 상대를 제압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이러한 힘은 일시적일 수 있으며, 외부의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力"을 "strength"로 번역하는 것은 이러한 물리적이고 외적인 힘의 개념을 잘 전달합니다.”強(강, power)“은 단순히 힘을 넘어서, 내적인 강인함과 자기 통제를 의미합니다. 자신을 이기는 ..

카테고리 없음 2024.11.01

노자 도덕경 33장-"智"와 "明"을 각각 "intelligence"와 "wisdom"으로 번역한 이유-1편

필자는 노자의 도덕경이 주는 지혜로움 중 33장에 대한 영어번역에 대한 동양철학적 사유로 접근해 보고자 합니다. 총 2편으로 나누어서 살펴 보겠습니다.  노자의 도덕경 33장에 “다른 사람을 아는 사람은 지혜로운 사람이고(知人者智), 자신을 아는 사람은 밝은 사람이다(自知者明). 남을 이기는 사람은 힘이 있는 사람이고(勝人者有力) 자신을 이기는 사람은 강한 사람이다(自勝者强)”라는 글귀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를 영어로 옮긴 것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Knowing others is intelligence[지인자지(知人者智): 남을 아는 자는 지혜롭다] ; knowing yourself is true wisdom.[자지자명(自知者明):자신을 아는 자는 밝다.]Mastering others is str..

카테고리 없음 2024.10.31

노자 도덕경 33-Knowing others is intelligence

노자의 도덕경 33장에 “다른 사람을 아는 사람은 지혜로운 사람이고(知人者智), 자신을 아는 사람은 밝은 사람이다(自知者明). 남을 이기는 사람은 힘이 있는 사람이고(勝人者有力) 자신을 이기는 사람은 강한 사람이다(自勝者强)”라는 글귀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를 영어로 옮긴 것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Knowing others is intelligence[지인자지(知人者智): 남을 아는 자는 지혜롭다] ; knowing yourself is true wisdom.[자지자명(自知者明):자신을 아는 자는 밝다.]Mastering others is strength[승인자유력(勝人者有力): 남을 이기는 자는 힘이 있다]; mastering yourself is true power[자승자강(自勝者強): 자신을..

카테고리 없음 2024.10.14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