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도 세력을 얻어야 한다ㆍ 예를 들면 예정에" 짜장면"을 표기법으로 잘 목 되었기 때문에 "자장면"이어야 한다고 해서 그것이 표준어가 되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자장면"은 말이 싱거어서 맛이 없어 보인다. 그러데 "짜장면"은 국민이 즐겨 부르는 것이라는 세력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그 소리가 맛있다. 그래서 짜장면으로 되돌아왔다.. 이처럼 말도 세력을 얻어야 한다는 주제로 글을 써보고자 한다. 이전에는 '자장면'만이 표준어였다. 그러나 짜장면에 익숙한 대중의 정서와 괴리된 표준 어어로 인해 논란에 휩싸였으며 결국 2011년 8월 31일 국립국어원이 짜장면과 자장면을 모두 표준어로 인정하였다. 표기법에 따라 "자장면"으로 표기되어 왔던 '짜장면'이 어떻게 '짜장면'으로 다시 돌아왔을까? 이러한 현상은 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