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의 네비게이션

인문학은 삶의 이정표 역할을 해준다

728x90
반응형
SMALL

김정겸 172

시장경제에서 독점과 수요 비탄력적 인간(대체불가능한 인간)

시장경제에서 독점은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합니다. 가격 결정력이 남용될 수 있습니다. 독점 기업은 시장에서 유일한 공급자이기 때문에 가격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에게 불리한 높은 가격을 부과하고, 소비자 선택의 폭을 좁히는 결과를 초래합니다.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경쟁이 부재하기 때문에 독점 기업은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노력을 소홀히 할 수 있습니다.혁신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경쟁자가 시장에 진입하기 어렵기 때문에 기술 혁신이 저해될 수 있습니다.사회적 후생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독점으로 인해 소비자 후생이 감소하고, 사회 전체의 후생도 감소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수요 비탄력적 인간, 즉 자신만이 독점할 수 있는 그 무엇을 독점적으로 갖고 있어야 합니다. 수요 비탄..

카테고리 없음 2024.11.18

꽃으로 보아주세요

사람을 밉게 보아서는 안 됩니다.밉게 보면 볼수록 그 사람이 잡초처럼 보이고, 결국 나 자신도 마음에 가시가 돋는 잡초가 될 것입니다.차라리 꽃처럼 바라보세요. 그러면 당신도 꽃처럼 아름다워질 수 있습니다. 마음이 지옥이라면 세상이 온통 지옥처럼 보일 것입니다.사람들은 한 번의 실수에도 너무나 쉽게 상처를 주고받습니다.하지만 누구에게나 실수는 있기 마련입니다.100번 잘한 일보다 한 번의 실수만 기억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입니다.사람의 마음속 깊은 곳에 숨겨진 아름다움을 찾아보세요. 향기는 코로만 맡는 것이 아닙니다.눈으로도 보고, 마음으로도 느낄 수 있습니다.잠시 멈춰 서서 주위를 둘러보세요.많은 것들이 새롭게 보일 것입니다. 세상은 신이 우리에게 선물한 아름다운 정원과 같습니다.매일 아침 맡는 풀잎의 ..

카테고리 없음 2024.11.14

꽃으로 피어나는 마음, 그리고 세상의 아름다움

"꽃으로 보아주십시오. 그러면 그대가 꽃이 될 것입니다.“ 이 단순한 문장 속에는 인생의 깊은 진리가 담겨 있습니다. 마치 겨울잠에서 깨어나듯, 우리는 매일 새로운 시작을 맞이합니다. 하지만 때로는 삶의 무게에 짓눌려 지쳐있고, 주변의 시선에 상처받아 마음이 닫혀버릴 때가 있습니다. 꽃은 봄바람을 타고 피어나듯, 우리의 마음도 따뜻한 시선과 말 한마디에 활짝 피어날 수 있습니다. 혹독한 겨울을 이겨내고 꽃을 피우는 강인한 생명력처럼, 우리 안에도 고난을 이겨내고 다시 일어서는 힘이 있습니다. 마치 깊은 골짜기의 난초처럼, 우리는 저마다 고유한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습니다. 난초의 은은한 향기가 온 골짜기를 감싸듯, 우리의 따뜻한 마음은 세상을 아름답게 물들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흔히 자신을 평가하고 비교하..

카테고리 없음 2024.11.07

카프카의 『변신』: 벌레로 변신한 인간, 실존주의의 거울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은 한 인간이 하룻밤 사이 벌레로 변신하는 충격적인 설정을 통해 현대인의 소외와 고립, 그리고 실존적인 고뇌를 깊이 있게 탐구한 소설입니다. 이 소설에서 벌레로 변신한 주인공 그레고리 잠자는 단순한 벌레가 아니라, 현대 사회 속 개인의 삶과 존재에 대한 심오한 은유입니다. 벌레로서의 그레고리, 소외된 현대인의 상징 그레고리가 벌레로 변신하는 순간, 그는 가족에게 버림받고 사회로부터 소외됩니다. 벌레는 더 이상 인간 사회의 일원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단지 혐오와 혐오의 대상이 됩니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소외와 고립감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그레고리는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가장이었지만, 벌레가 된 후에는 가족에게 부담이 되는 존재로 전락합니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카테고리 없음 2024.11.06

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와 현 교육의 문제점: 억압에서 벗어나 자유를 향해

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는 한스 기벤라트라는 소년이 신학교에 입학하여 겪는 고뇌와 성장을 통해, 획일화된 교육 시스템과 사회가 개인의 자유와 창의성을 얼마나 억압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작품에서 '수레바퀴'는 단순한 물체를 넘어, 개인을 짓누르는 사회, 교육 시스템, 그리고 기대를 상징하며, 이는 현대 교육 시스템이 안고 있는 문제점과도 깊게 연결됩니다. 1. 수레바퀴, 획일화된 교육 시스템을 상징하다소설 속 수레바퀴는 끊임없이 돌아가며 개인을 짓누르는 거대한 힘을 상징합니다. 이는 마치 학교 교육 시스템이 학생들을 틀에 박힌 방식으로 몰아넣고, 개인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무시하는 것과 같습니다. 신학교에 입학한 한스는 엄격한 규율과 경쟁 속에서 자신의 꿈과 욕망을 억눌러야만 했습니다. 이는 현대..

카테고리 없음 2024.11.05

이카루스의 날개와 추락: 욕망과 현실의 조화

이카루스의 이야기는 인간의 욕망과 현실의 관계를 보여주는 가장 극적인 예화 중 하나일 것입니다. 아버지 대다나우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이카루스는 하늘을 향한 욕망을 이루고자 밀랍으로 붙인 날개를 달고 하늘로 날아오릅니다. 하지만 태양의 열기에 밀랍이 녹아버리면서 추락하고 마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합니다. 이카루스의 비극은 단순히 욕망의 과도함으로 인한 결과만은 아닐 것입니다. 그의 비극은 인간이 가진 욕망과 현실의 조화로운 관계를 맺지 못했을 때 벌어지는 비극을 보여줍니다. 하늘을 향한 욕망은 인간의 본성이지만, 현실적인 제약을 무시하고 욕망만을 추구했을 때에는 파멸이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카루스는 하늘을 향한 꿈을 향해 너무나도 열정적으로 나아갔지만, 현실의 제약을 잊고 스..

카테고리 없음 2024.11.04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에서 “알을 깨고 나오는 새”

헤르만 헤세의 알을 깨고 나오는 새처럼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에서 가장 인상적인 문장 중 하나는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싸운다. 알은 곧 세계이다. 태어나려고 하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파괴하지 않으면 안 된다."입니다. 이 문장은 단순한 생물학적 현상을 넘어, 인간의 성장과 변화, 그리고 삶의 본질에 대한 깊은 철학적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이 문장에 생명을 불어넣어 보겠습니다."새는 알을 깨고 나오려고 몸부림칩니다. 그 알은 단순한 껍질이 아니라, 그동안 자신이 알고 있던 모든 것, 익숙했던 모든 것, 안전하다고 믿었던 모든 것으로 둘러싸인 세계입니다. 세상에 나오기 위해서는 그 모든 것을 깨부수어야 합니다. 고통스럽고 두렵지만, 새로운 삶을 향한 필연적인 과정입니다. 마치 갓 태어난 아기가 탯줄을 ..

카테고리 없음 2024.11.03

인기라는 장작불, 그리고 뜨거운 열정

인생이라는 무대에서 열정적으로 삶을 영위하여 많은 주목과 관심을 받았지만 돌아가는 모습은 똑 같습니다.  인기는 마치 장작불과 같습니다. 처음 불이 붙을 때의 뜨거운 열기와 빛은 모든 이의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하지만 그 불꽃은 영원히 지속될 수 없습니다. 장작이 다 타버리면 남는 것은 연기와 재뿐입니다. 인기도 마찬가지입니다. 짧은 순간의 뜨거운 열정으로 얻은 인기는 언젠가는 사그라들기 마련입니다. 연기처럼 사라지는 인기, 열정으로 불을 지펴야인기는 마치 연기처럼 사라지기 쉽습니다. 한순간의 화려함에 취해 정작 중요한 것을 놓치고, 스스로를 관리하지 못하면 쉽게 무너져 내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열정으로 이룬 인기는 다릅니다. 끊임없이 자신을 발전시키고, 겸손한 자세를 유지하며 노력한다면 인기는 단순한..

카테고리 없음 2024.11.02

노자 도덕경 33장-"力"과 "強"을 각각 "strength"와 "power"로 번역한 이유-2편

다음으로 "力"과 "強"을 각각 "strength"와 "power"로 번역한 이유는 중국 철학적 사유와 영어 어원의 관계를 통해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첫째, 중국 철학적 사유에서 "力"과 "強"”力(력, strength)“은 물리적 힘이나 능력을 의미하며, 타인을 이기는 것과 관련된 개념입니다. 노자는 남을 이기는 것이 힘의 한 형태라고 보았으며, 이는 외부의 힘이나 권력을 통해 상대를 제압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이러한 힘은 일시적일 수 있으며, 외부의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力"을 "strength"로 번역하는 것은 이러한 물리적이고 외적인 힘의 개념을 잘 전달합니다.”強(강, power)“은 단순히 힘을 넘어서, 내적인 강인함과 자기 통제를 의미합니다. 자신을 이기는 ..

카테고리 없음 2024.11.01

노자 도덕경 33장-"智"와 "明"을 각각 "intelligence"와 "wisdom"으로 번역한 이유-1편

필자는 노자의 도덕경이 주는 지혜로움 중 33장에 대한 영어번역에 대한 동양철학적 사유로 접근해 보고자 합니다. 총 2편으로 나누어서 살펴 보겠습니다.  노자의 도덕경 33장에 “다른 사람을 아는 사람은 지혜로운 사람이고(知人者智), 자신을 아는 사람은 밝은 사람이다(自知者明). 남을 이기는 사람은 힘이 있는 사람이고(勝人者有力) 자신을 이기는 사람은 강한 사람이다(自勝者强)”라는 글귀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를 영어로 옮긴 것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Knowing others is intelligence[지인자지(知人者智): 남을 아는 자는 지혜롭다] ; knowing yourself is true wisdom.[자지자명(自知者明):자신을 아는 자는 밝다.]Mastering others is str..

카테고리 없음 2024.10.31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