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의 네비게이션

인문학은 삶의 이정표 역할을 해준다

728x90
반응형
SMALL

철학은처락이다 18

소수, 합성수, 자연수의 인문학적 접근-4. " 1"을 빼는 인문학

자연수는 소수와 합성수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우리의 삶에 있어 순수함과 다양성이 어우러진 상태를 표현합니다. 수학문제를 풀 때 자연수에 대한 우리의 사고는 1은 빠져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1이 반드시 들어갑니다. 그러나 필자는 인문학적으로 1을 빼는 이유를 마지막으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그 이유는 인문학적인 해석을 통해 우리는 숫자 뒤에 감춰진 깊은 의미를 발견할 수 있으며, 수학적인 개념이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연수에서 "1"을 자주 잊는 이유 -인문학적 접근- 1이라는 숫자가 자연수, 소수, 합성수 등의 수학적 개념 속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는 더 나아가 우리의 삶과 인간관계에까지 영향을 미치는데, 자연수를 생각할 때 1을 빼고 이야기하..

카테고리 없음 2024.01.10

소수, 합성수, 자연수의 인문학적 접근-1. 소수

4의 약수는 1.2.4이며 6의 약수는 1.2.3.6이며 8의 약수는 1.2.4.8이고 5의 약수는 1.5입니다. 이처럼 모든 약수에서 “1”은 공통으로 존재합니다. 그런데 어떤 수의 약수를 구할 때 예에서 본 바처럼 4이건, 6이건. 8이건. 5이건 자기 자신을 반듯이 포함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즉, “1과 자기 자신”은 꼭 포함된다는 사실입니다. 4.6.8.5 등에서 보다시피 소수(素數:prime number)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의미합니다. 素 는 “본디 소, 근본 소”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장 근본적인 수 즉, 2는 1.2, 3은 1.3, 5는 1.5 즉, 공통의 1과 자기 자신인 2.3.5를 소수라고 합니다. 소수에 대한 인문학적인 탐색 소수는 수학적인 개념뿐만 아니라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카테고리 없음 2024.01.05

수학공부 잘 합시다: 미분과 적분의 인문학적 접근

미분과 적분은 수학적 개념으로, 미분은 함수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것이고 적분은 함수의 면적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들 개념은 인문학적인 관점에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미분 미분은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간의 삶에서도 우리는 늘 변화를 경험하고, 그 변화의 속도를 파악하고자 합니다. 이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미분이 되는데, 미분은 변화율을 계산함으로써 어떤 시점에서의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 따라서 미분은 인간의 삶에서 변화와 그 속도를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줍니다. 이것이 우리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시간과 순간의 아름다움: 예술과 창작 미분은 시간 속에서의 순간적인 아름다움을 감지할 수 있게 합니다. 예술가들..

카테고리 없음 2024.01.03

길이 없으면 길을 만들라고? 헛소리!!!

"무슨 일인가 하다가 "길이 없다. 답이 없다"라고 말한다. 길이 없다면 길을 만드는 것이 아니고 답이 없다면 답을 만드는 것이 아니다. 자신이 하던 일을 계속하다 보면 그것이 길이 되고 답이 되는 것이다. 그것을 다른 사람들이 길이라고 하고 답이라고 한다. 당신은 당신만의 길을, 답을 지니고 있다. 특정한 상황이나 일을 진행하면서 어려움을 겪을 때의 자세나 마음가짐에 대한 철학적인 아이디어를 담고 살아야 합니다. 삶을 살아가면서 주어진 상황에서 답이나 길이 없다고 느낄 때의 대처 방법에 대한 관점을 어떻게 갖느냐에 따라 삶이 달라지게 됩니다. "길이 없다. 답이 없다"라고 말하는 것은 어떤 문제나 과제를 진행하면서 어려움을 마주했을 때 자주 느끼는 감정을 나타내는 것이다. 일을 하다가 막히거나 방법을 ..

카테고리 없음 2023.12.26

삼각형과 오각형의 인문학

삼각형과 오각형을 인문학적인 시각에서 바라본다면, 이러한 기하학적 도형은 더 깊은 의미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아래는 삼각형과 오각형에 대한 인문학적인 접근을 나타내는 아이디어이다. 첫째, 삼각형 (Triangle)의 의미는 3가지로 나타내볼 수 있다. 우선, 통합과 균형의 상징(안정)이다(안정) 이다 삼각형은 세 변이 조화롭게 결합되어 균형을 이루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는 통합과 균형, 조화의 상징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삼각형은 다양한 개념에서 통합된 아름다움이나 조화를 상징하는 상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세계의 삼위일체를 나타낸다. 삼각형은 세 변이 서로 다른 개념이나 성격을 나타내며, 이들이 하나로 합쳐져 세계의 삼위일체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다양성과 통합, 그리고 ..

카테고리 없음 2023.12.22

새삼 공자를 생각하다: 君子有九思(군자유구사: 『논어』)

공자와 소크라테스의 공통점은 저서가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들이 유명해지고 그들의 말이 지금까지 우리들에게 회자되는 이유는 훌륭한 제자를 두었다는 것이다. 공자는 맹자 등, 소크라테스는 플라톤 등 많은 뛰어난 제자를 두었다. 『논어』라는 책은 공자와 그의 제자들간의 대화를 담고 잇는 것이다. 공자의 말 중 君子有九思(군자유구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한자 풀이를 보면 “군자는 항상 마음 써야 할 아홉 가지 생각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이다. 그 9가지는 다음과 같다. "볼 때는 명(明)을 생각하고 들을 때는 청(聽)을 생각하며, 색(色)은 온(溫)을 생각하고 모(貌)는 공(恭)을 생각하며, 언(言)은 충(忠)을 생각하고, 사(事)는 경(敬)을 생각하며, 의심스러울 때는 문(問)을 생각하고 분할 때는 난..

카테고리 없음 2023.12.19

지금 이 순간은 곧 지나가고, 더는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

지금 이 순간은 곧 지나가고, 더는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내일은 나에게 다가오는 미래의 문이며, 무궁무진한 가능성과 기회로 가득 차 있을 것이다. 우리는 삶의 무한한 여정에서 오늘의 순간들을 소중히 여기고, 내일을 위한 준비를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현재라는 단어는 영어로 'present'로 표현되며, 이는 동시에 '선물'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현재가 선물인 이유는 바로 내일이라는 미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오늘의 경험과 선택이 내일을 더 풍요롭게 만들어 갈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 선물 같은 현재를 올바르게 다루어야 한다. 오늘을 제대로 마무리하고 내일을 위한 준비를 하려면 현재의 순간을 깊이 살아가야 한다. 과거의 실수나 후회에 시달리지 말고, 현재에 초점을 맞춰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카테고리 없음 2023.12.15

삶의 방정식을 이해하자.

삶은 각자의 경험과 선택, 환경 등에 의해 크게 다르게 발전하고 흘러가는데, 이를 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면,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삶의 방정식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y=f(x)를 사용하여 삶의 방정식을 예로 들어보자. 일단 삶의 방정식 “y=f(x)”에서 x는 시간을 나타내며, y는 삶의 상태를 나타낸다. f(x)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삶의 여러 측면을 표현하는 함수이다. 이 함수에는 다양한 변수와 인자가 포함될 수 있다. 첫째, 개인적 성장 요인 (a): y=a⋅f(x) 여기서 a는 각 개인의 성장 요인을 나타내며, 시간에 따라 어떻게 성장하는지를 표현한다. 개인적 성장 요인 a를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겠다.. y=a⋅f(x)에서 a는 각 개인의 성장을 나타내는 상수이다. 이는..

카테고리 없음 2023.12.12

꼭 함께 한다고 시너지가 나올까?- 아니다

"함께 마음을 하면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된다"라는" 말은 협력과 협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함께 노력하고 협력함으로써 높은 성과를 이룰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이는 항상 모든 상황에서 적용되는 법칙은 아니다. 다음은 함께 한다고 해서 항상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를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살펴본 것이다. 첫째, 의사소통 부족 예를 들면 한 팀이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팀원들이 서로 소통하지 않고 개인적인 목표에만 집중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함께 있음에도 불구하고 효율적인 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의견 차이나 갈등이 발생하여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둘째, 역할 분담의 부재 예를 들면 프로젝트나 팀 활동에서 각자의 역할과 책임이 명확하지 않거나 고르게 분담되지 않은 경우가..

카테고리 없음 2023.12.11

어디에 살든, 어떻게 살든, 그게 바로 우리의 인생

어디에 살든, 어떻게 살든, 그게 인생이다. 우리는 각자의 길을 헤매고, 어떤 환경에서든 우리만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 어디에 있든, 어떤 상황에서든, 우리가 진정으로 소중히 여기는 것은 무엇일까? 인생은 때로는 어려움과 도전의 연속일 수 있다. 어디에서든 우리를 시험하는 순간들은 찾아온다. 그럴 때마다 우리는 마주하는 과제에 맞서고, 어떤 상황에서도 우리만의 빛나는 순간을 찾아야 한다. 어디에서든, 어떻게든, 우리가 마주하는 모든 것은 우리의 삶을 풍부하게 만드는 소중한 경험의 일부이다. 어디에 살든, 어떻게 살든, 그 속에서 느끼는 감동은 우리를 더 강하게 만든다. 감동은 때로 작은 것에서 찾을 수 있고, 때로는 큰 순간들에서 찾을 수 있다. 가까운 이웃과의 따뜻한 대화, 아름다운 풍경을 바라보며 느..

카테고리 없음 2023.11.28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