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의 네비게이션

인문학은 삶의 이정표 역할을 해준다

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 255

새가 날개를 갖고 있는 이유

#새가 나뭇가지에 앉아서 나뭇가지가 부러질까 걱정하지 않는 이유는 자신의 #날개에_대한_믿음 때문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배울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교훈이며, #자기_확신의_문제와 관련이 있습니다. ●●● 새는 그저 자신의 날개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날개를 펴고 하늘을 날아다니며 자신들의 능력을 시험합니다. 그들은 걱정하지 않고 높은 곳에서도 자신들이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 믿습니다. 이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믿음과 같이 #강력한-힘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우리는 종종 자신의 능력에 대한 #불신을 가집니다. 두려움과 불안에 사로잡혀 우리는 새처럼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것을 망설입니다. 우리는 실패와 거부에 대한 두려움으로 자신의 꿈을 포기하거나, 불안에 사로잡혀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카테고리 없음 2023.04.19

#대단함이란!

●●● 태초부터 대단한 것은 없습니다. 처음부터 대단하다는 것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인간_세계를 넘어서는 #초월적_존재를 상정해야 합니다. 저는 현실의 사람이라 초월의 세계를 논하고 싶은 생각은 털끝만큼도 없습니다. ●●● 그러면 인간이 대단하다는 소리를 듣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조건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꾸준함입니다.. #꾸준함이_대단한_것이다. 대단해서 대단한 것이 아니라 꾸준해서 대단해지는 것입니다.. 애초부터 대단한 것은 없다고 봅니다. 대단해지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꾸준함입니다. 꾸준함과 더불어 #성실이 어우러져야만 대단해진다고 봅니다. 그래서 성실한 자세를 갖는 것은 대단한 일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대단함은 성실만으로는 이룰 수 없습니다. #노력과_열정이 결..

카테고리 없음 2023.04.18

니체(Friedrich Nietzsche)가 도대체 누고(3)?

니체 사상 제대로 알기(3): 신은 죽었다 . ●●● #“신은 죽었다”라고 말하는 니체는 신을 부정한 무신론자일까요? ●●● 니체는 자신이 #무신론자라는 것을 명확하게 밝히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니체는 종교의 영향력이 약화되고, 인간 중심의 자유로운 사고가 강조되는 시대에 살았습니다. 그는 #종교적 신념에 사로잡혀 살다 보면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고, 진리를 왜곡한다고 생각했으며, 이는 곧 개인의 독립적인 판단과 자유로운 사고의 발전을 막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따라서 "#신은-죽었다"라는 명제는 단순히 신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신에 대한 개념과 사회적 가치관을 혁명적으로 변화시키겠다는 의지가 담긴 발언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어떤 의미에서 해체라고 말하는가요? 니체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선구..

카테고리 없음 2023.04.11

니체(Friedrich Nietzsche)가 도대체 누고(2)?

니체 사상 제대로 알기(2): #초인(Übermensch) ●●● #이육사, 광야를 달리는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이 그 초인일까? -아니죠. 니체의 "초인"이란 개념은 인간의 훌륭한 #자아를 실현하고자 하는 개인적인 욕구와 열망을 지닌 인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상생활에서도 적용 가능한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자신의 능력과 열정을 통해 큰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경우, 그 사람은 "초인"의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자신의 행동과 선택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고,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과 노력을 기울이게 됩니다. #초인의-태도에 대해 두 가지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 "초인"의 태도는 다른 사람들과의 비교와 경쟁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카테고리 없음 2023.04.10

니체(Friedrich Nietzsche)가 도대체 누고(1)?

●●● 니체 사상 제대로 알 기(1): 영원회귀 ●●● #철학이-필요한 이유 살아가면서 철학이 무슨 필요가 있냐고 생각하시면 세상을 의미 없이 하루하루를 보내게 될 것입니다. 이 세상은 철학으로 둘러싸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런데 그런 철학을 홀대하고 중요하지 않게 여기는 것은 아마도 #공기의-고마움을 잊고 사는 것과 같은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공기가 없으면 우리는 죽습니다. 그러나 공기의 귀중함을 평소에는 느끼지 못하고 살아갑니다. 이리저리 둘러보아도 철학과 아무 관계가 없는 듯 보이지만 여러분의 종교,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입니다. 오늘은 #니체와-불교와의 관계, 그리고 니체의 핵심 사상이라고 볼 수 있는 “#영원회귀”에 대해..

카테고리 없음 2023.04.07

굿빠이, 플라스틱!

#pro-pac 로고 사용(허가받았음) 몇 해 전 “미스터 선 샤인”이라는 드라마를 흥미롭게 봤습니다. 이 드라마 제목을 패러디해서 지금의 시류에 맞게 “#굿빠이-플라스틱!”으로 했습니다. “굿바이”보다는 “굿빠이”가 정감 있어 보여 된 발음이지만 “굿빠이”로 했습니다. ●●● 인간은 태초부터 생분해 대상이다. ●●● #생분해란, #유기물이 자연적인 환경에서 미생물, 곰팡이, 벌레 등의 생물체들에 의해 분해되어 자연적으로 #분해될 수 있는 과정을 말합니다. #인간은-유기물입니다. 우리 몸은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등의 유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생화학 반응은 유기화학반응입니다. 따라서 인간은 죽으면 흙속에서 분해되어 환경과 함께하게 됩니다. ●●● #플라스틱은-유기물이 ..

카테고리 없음 2023.04.06

내 인생은 내 것 이라구요

산다는 것은? 참으로 산다는 것이 녹녹하지는 않습니다.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세상에 내던져진 나에게 끝까지 시키는 대로 살라고 요구합니다. 부모는 자식을 소유물로 생각하지요. 왜냐하면 자신들의 몸을 빌어 태어났으니 “넌 내 것”이라는 생각이 가득합니다. 그러니 매사에 “감 놔라, 밤 놔라”하고 태클을 걸어댑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자식이 자신들의 말대로 움직이지 않죠. 특히 북한에서도 두려워한다는 중학교 2학년이 되면 자식들은 자신들의 삶이 더 중요하다고 대들기 시작합니다. 그래도 끝까지 “넌 내꺼야‘를 외치는 부모는 병들어 아프기 시작합니다. 불교의 4성제로 말하자면 잡착(집성제:(집성제 원인)하니 괴로워지는 것(고성제: 결과)입니다. 그래서 무소유를 외치는 것이 아닐까요? 무소유의 삶 연인이나 부부끼..

카테고리 없음 2023.04.05

나는 대체 불가능한 사람(an irreplaceable person)인가?

의사와 변호사도 #chat #GPT로 대체가능 #의사와 #변호사 되기가 참으로 어렵습니다. 그들은 오랜 시간 동안 공부를 하고 어려운 시험을 통과해야 그 직업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직업에 대해 부러워하고 심지어는 그들의 말이 절대적이라 생각하고 무조건적 #복종을 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의사나 변호사가 #실력이 없다고 느껴지면 우리는 다른 의사나 변호사로 대체하면 됩니다. 즉, 실력이 없으면 대체가능한 직업이 되어 버립니다. 다른 직업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제가 의사와 변호사를 언급하는 것은 그 직업을 갖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 등의 #투자를 하기 때문입니다. 실력과는 다른 의미이지만 #판검사도 마찬가지입니다. 피고나 피고인이 법정에서 자신을 대리할 판검사에 대해 불신이나 ..

카테고리 없음 2023.04.05

세상에서 가장 평등한 것은?

저는 이글에 대한 글을 쓰면서 물리학자 Albert Einstein이 주장하고 있는 #상대성이론(the theory of relativity)은 논외로 하겠습니다. 그의 상대성이론은 “#시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관찰자와 관찰자가 위치한 기준틀에 상대적이다. 이것은 시간이 상대적인 속도와 위치에 따라 다른 관측자들에게 다른 속도로 지나가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라고 말하기 때문에 물리학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예외로 하겠습니다. 그 이유는 저는 #인문학자이고 인문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접근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세상에서 인간에게 가장 평등한 것이 무엇일까? 돈일까요? 돈이야말로 절대 #불평등한 것이지요? #돈은 사람에 따라 달리 붙는 속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절대 평등하지 않습니다. #자본주의 대표적 산물인..

카테고리 없음 2023.04.03

누구에게 감사해야 할까?

요즘 제가 늘 생각하고 실천에 옮겨보려고 노력하는 것 중에 하나가 나 자신에게 감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제가 제 스스로에게 감사해야 한다고 하니 당연히 저를 잉태하여 세상밖으로 내보내 주신 부모님에게 먼저 감사해야 하는 것이 도리이지만 현재 “지금-여기”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이 "나"이기에 "나"에게 감사를 해야한다는 취지의 글을 쓰는 것입니다. “지금-여기”에서 제일 감사해야 할 사람, 제일 고마워해야 할 사람은 자기 자신 “지금-여기”에서 제일 감사해야 할 사람, 제일 고마워해야 할 사람은 자기 자신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내가 내 몸의 주인이고 동시에 내 몸으로 모든 행위를 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그날그날의 자신의 수고로움에 감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날 하루를 버티..

카테고리 없음 2023.03.31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