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의 네비게이션

인문학은 삶의 이정표 역할을 해준다

728x90
반응형
SMALL

2023/06 3

말은 그 인간의 인격을 들어내는 것이다.

입(口)의 의미는 욕구이다. 욕구는 영어로 “need” 이다. “need”는 ‘필요’라는 뜻을 갖고있다. 그러나 이 단어를 좀더 면밀히 조사해보면 ‘결핍’이라는 뜻도 있다. “want"역시 ‘원하다’이외에 ‘결핍의 뜻을 갖고 있다. ’사랑을 원한다(want)‘고 할때 사랑이 ’결핍‘되었기 때문이며 ’돈을 필요로 한다(need)‘라고 한다면 돈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핍(need)‘은 반드시 ’욕구(need)‘를 ’필요(need)‘로 하는 것이다. 그 욕구는 어디에서 나오는가?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종합해보면 생물학적 기관인 입(口)으로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입‘은 욕구의 중심이고 ’입‘을 통해 나오는 모든 발설(發說 )은 자신의 욕구충족의 일환으로서 내 뱉는 행태이다. 많은 학자와 철학자의 주장 ..

카테고리 없음 2023.06.26

끝은 끝이 아니다.

단연코 끝은 없다. 끝났다고 생각할 때 새로운 시작이 기다린다. 그래서 삶을 살아가면서 하고자 하는 일을 포기해서는 않된다. 따라서 끝이 끝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발전이 없다. 끝만을 생각하는 사람은 나태해진다. 끝의 반대가 “시작”이 아니라 “끝과 시작”은 한 연장 선상에 있는 것이다. 그래서 “끝과 시작”은 묘합(妙合)의 관계를 갖고있다. 그래서 끝과 시작은 그 관계가 제로(zero)이다. 따라서 끝은 시작이 있어 새로운 출발점이고 시작은 끝이 있어 새로운 준비점이 된다. 시작은 인간으로 하여금 긴장하게 하고 계획하게 한다. 삶의 매일의 순간이 새로운 시작이기 때문에 삶을 탱탱하게 유지시켜 줄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대감을 주어 설레임을 주기도 한다. 그날 하루를 여는 첫 시작의 순간, 인간 탄생의 ..

카테고리 없음 2023.06.21

사랑이 아프다

사람은 누구나 한가지 이상의 추억을 지니고 살아간다. 추억(追憶)이란 ‘생각하다(憶)’라는 것이다. ‘추억’에서 억(憶)의 의미는 마음(忄) 저 깊은 곳에 자리 잡고 있었던 ‘의미(意)있는 사건들을 생각한다는 것이다. 영어로 추억은 remembrance, retrospection 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remembrance는 ’기억하다(remember)‘에서 온 단어이다. retrospection은 기억(remember) 저편에 있었던 일들을 다시(re) 생각(spect)해 보는 것이다. 따듯한 추억을 갖고 싶고 그 추억이 영원히 내 가슴속에 자리 잡기를 희망한다. 그러나 그 추억이 애절한 것이라면 평생을 아파하며 살아 갈 것이다. 산이 높을 수 록 골짜기가 더 깊어지는 것처럼 깊은 사랑일수록 추억도 ..

카테고리 없음 2023.06.20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