荀子(순자)는 인식(認識)과정 단계를 듣기(聞)→ 보기(見)→ 알기(知)→ 행하기(行)의 4단계로 나누는 데 그 최종은 도덕적 실천인 "행하기(行)에 있다. 군자의 학문은 귀로 들어와서 마음에 안착되고 사지에 퍼져서 행동에 나타난다. 그래서 소곤소곤 말하고 점잖이 움직여 모두가 법도가 될 만하다. 소인의 학문은 귀로 들어와 입으로 토하니 귀와 입은 불과 네치 사이이다. 어떻게 인식자의 몸을 아름답게 할 수 있을 것인가? 군자의 학문 ‘귀로 들어 온다(入乎耳)’는 것은 감지의 단계이며 ‘마음에 안착된다(着乎心)’는 것은 이해의 단계이고 ‘사지에 퍼진다(布乎四體)’는 것은 지식을 내면화 시키는 단계라면 ‘행동으로 나타난다(蝡而動)’는 것은 지식을 운용하는 단계이다. 배움(學)은 실천의 수단이 되는 것이고 행..